캠페인 기간: 2016년 9월18일 – 2016년 10월 31일 (종료)
크라우드펀딩 캠페인을 지지하시고 후원해 주셔서 너무나 감사드립니다. 크라우드펀딩으로 모인 금액에 제가 있는 학교에서 후원하기로 동의한 매칭펀드을 합하니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수 있는 금액을 마련하였습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안전한 사회가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지를 많은 분들과 쉽게 나눌수 있는 작품을 2017년에 소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한국어 캠페인 비디오를 보시려면 위 사진을 클릭하세요.
본 캠페인은 시스템 안전을 주제로 두번째 애니메이션을 제작하고자 하는 크라우드 펀딩 캠페인입니다. 이 애니메이션은 안전향상을 위한 정책개발, 공개토론, 사회운동을 하는데 중요한 가이드가 될 수 있고, 특별히 안전관련 업무/연구를 하시는 분들은 이 애니메이션을 교육/안전의식개선 자료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1. 재난사고는 왜 계속 발생하나?
세계 곳곳에 안타까운 재난 사고가 항상 일어나고 있습니다. 최근 중국 텐진에서 발생한 것 같은 큰 폭발사고도 있고, 크게 알려지지 않을 수 있는 많은 의료 사고들도 있습니다. 특별히 세월호 사고는 대한민국 전체를 슬프게 한 안타까운 사고였습니다. 영국에서 안전을 연구하는 학자로서 그 안타까움과 책임감에 ‘당신은 어떤 관점으로 세월호 사고를 볼 것인가’라는 10분짜리 애니메이션을 제작하였습니다. 지난 30여년 동안 진행된 안전과 관련한 여러 학문들의 연구 결과를 고찰하여 우리가 어떻게 세월호 사고를 이해하고 대응해야 할지 같이 생각해 보고자 만들었습니다.
2. 첫 번째 애니메이션에 대한 반응
첫 번째 애니메이션을 만든 후에, 1년이 지난 지금 70여개국 사람들이 15,000회 이상을 시청을 하였습다. 또한 전 세계에 있는 안전관련 석학들과 현업의 전문가들로부터 아래와 같은 많은 격려의 메시지를 받았습니다.
“탁월한 애니메이션, 시스템 안전의 모든 요소들을 절묘하게 결합하여 압축하여 소개하는 영상입니다.”
리차드 쿡, 환자안전 교수, 스웨덴왕립대학
“이 영상은 중요한 메시지를 너무나 훌륭하게 보여줍니다. 다음 단계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많은 사람들이 이 영상을 보게 하고, 소화하게 하고 그리고 그들의 행동을 바꾸도록 해야 합니다.”
돈 노만, 심리학, 인지과학 교수,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디자이너 중 한 명
“아주 훌륭한 영상 작품입니다. 특히 안전관련 서적을 읽을 시간이 없는 사람들에게 이런 영상이 안전에 대한 메시지를 보다 쉽게 전달할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시드니 데커, 인간/안전공학 교수, 저자, 조종사
“전달하려는 주제가 명료하며, 훌륭하게 제작되었습니다.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많습니다.”
스티브 에반스, BBC서울 특파원
이와 더불어 추가적으로 중요한 질문이 제시되었습니다.
“안전한 조직/사회란 실제적으로 어떤 모습일까?”
이 새로운 질문에 대한 답변을 ‘두 가지 상반되는 미래 모습’ 라는 새로운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하고자 합니다. 지난 50년 동안 발전해 온 인간공학분야의 연구결과들은 우리에게 이러한 질문에 대한 중요한 비전과 대안을 제시해 줄 수 있습니다.
두 번째 애니메이션은 첫 번째 애니메이션에서 보여 주지 못한 미래에 안전 사회를 이루기 위한 우리가 어떤 행동을 해야 할 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보여 줄 예정입니다. 두 번째 애니메이션은 최근 인간공학, 시스템안전, 레질리언스 엔지니어링, Safety Intelligence등과 같은 최신 생각들을 바탕으로 제작할 예정입니다.
3. 두 번째 필름: 두 가지 상반된 미래 – 어떤 미래를 만들어 갈 것인가?
시스템 안전관련 학자로서 안전한 조직의 바람직한 모습이 어떤지를 보여주는 연구결과를 많이 접해 왔습니다. 그러나 정책가, 규제담당자, 시스템관리자, 시스템 제작자, 언론, 일반 국민들에게는 이러한 연구결과들이 제대로 알려지지 않고 있습니다. 이 과제의 주 목표는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10분짜리 스토리를 바탕으로 한 애니메이션을 통해서 전달하는 것입니다.
새로운 애니메이션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상반된 미래 시나리오를 보여드리고자 합니다.
- 미래 시나리오I: 책임전가와 처벌이 반복되는 희망이 없는 미래
- 미래 시나리오II: 조직의 학습력과 회복력을 키워가는 희망이 있는 미래
4. 두 번째 애니메이션 제작이 왜 중요한가?
두 번째 애니메이션은 대한민국뿐 만 아니라 다른 선진국, 개발도상국 등에 있는 정책 입안자, 사회운동가 그리고 일반 대중들을 포함하여 여러 사람들에게 안전사회에 대한 비전을 보여 주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애니메이션은 특별히 안전 관련 일을 하는 분들에게 조직과 사회의 더 많은 사람들의 안전에 대한 관점을 전환하는 교육도구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믿습니다. 결국 이는 미래 안전관련 정책 개발/입안, 사회운동 그리고 공개 토론회의 방향에 바람직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믿습니다.
5. 어떻게 애니메이션을 배포할 것인가?
첫 번째 애니메이션과 같이 두 번째 애니메이션도 많은 분들이 교육에 활용하실 수 있도록 온라인을 통해 무료로 배포할 예정입니다. 안전 관련된 정부관리자/현업전문가/학회조직을 포함한 다양한 파트너쉽과 경로를 통해 배포할 예정입니다. 여러 가지 온라인 그룹들과 다양한 소셜 미디어를 통해서도 배포할 예정입니다.
6. 여러분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1) 이미 만들어진 첫 번째 애니메이션과 이 캠페인을 널리 알려주세요.
- Two Contrasting Views of the South Korea Ferry Disaster (English version)
- 당신은 어떤 관점으로 세월호사고를 볼 것인가? (Korean version)
- 韩国世越号渡轮事故的两种相反的观点: 您会选择哪个? (Chinese version)
2) 두 번째 애니메이션 제작을 위해 작은 금액이라도 기부를 해 주세요. (7천오백원부터)
위의 링크를 클릭하셔서 오른편에 있는 Perk메뉴를 통해서 기부를 하실 수 있습니다.
7. 모금된 금액을 어디에 쓸 것인가?
이 두 번째 애니메이션 제작을 위해 기부된 모든 금액은 animation 작업과 관련된 모델링, 렌더링, 나레이션 녹음, 사운드 효과 그리고 편집에 사용될 예정입니다. 하지만 연구자료를 바탕으로 한 대본 제작과 학술적인 지원과 관련된 사항은 자발적으로 될 것이며, 기부금은 전혀 사용되지 않을 것입니다. 기부금의 양에 따라 애니메이션의 스타일과 길이가 결정될 것이며, 필요한 최소한의 자금은 천육백만원 (11,000파운드)이며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는 이천사백만원 (16,000파운드)입니다.
애니메이션 제작은 총 10개월의 일정으로 다음과 같은 일정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 제작 준비 단계 I: 대본 및 스토리보드 제작
- 제작 준비 단계 II: 가 나레이션 녹음
- 제작 단계: 모델링, 리깅, 렌더링 및 편집
- 제작 후 작업: 최종 나레이션 녹음 및 음향효과
8. 프로젝트팀
총괄/시나리오 작성: 전규찬 (시스템/인간공학 교수, 러프버러대학교, 영국)

학술조언: Patrick Waterson (심리학 교수, 러프버러대학교, 영국)

학술조언: Roger Haslam (인간공학교수, 러프버러대학교, 영국)

애니메이션 감독: 박만기 (박사학위 취득, 애니메이션/뉴 미디어 아트, 러프버러 대학교, 영국)
